君子見毫厘之善不可傾之.
군자견호리지선불가경지.
군자(君子)는 아주 작은 선(善)을 보더라도 그것을 아니해서는 안 된다.
君(군): 군자 | 子(자): 사람 |
見(견): 보다 | 毫(호): 조금 |
厘(리): 아주 작은 수 | 之(지): ~은 |
善(선): 선 | 不(불): 아니하다 |
可(가): 옳다 | 傾(경): 다 쏟아 내다 |
之(지): 그것 |
※어구(語句):
- 君子(군자): ❶학식(學識)과 덕행(德行)이 뛰어난 사람. ↔ 小人(소인). ②높은 관직에 있는 사람. 지위가 높은 사람. ③아내가 남편을 높여 일컫는 말.
- 毫厘(호리): ❶아주 조금. 매우 적음. 극히 적은 분량(分量). *호리(毫釐).
- 不可(불가): ❶~해서는 안 된다. ②~할 수가 없다. ③옳지 않음. ④가능하지 않음. ⑤찬성(贊成)과 반대(反對)를 결정할 때에 반대를 표시하는 말.
※音(음)과 訓(훈):
명심보감(明心寶鑑) 계선편(繼善篇) 014
■顏子曰.
■안자왈.
■안자(顏子)가 말하였다.
■君子見毫厘之善不可傾之,
■군자견호리지선불가경지,
■군자(君子)는 아주 작은 선(善)을 보더라도 그것을 아니해서는 안되며,
■군자(君子)는 아주 작은 선(善)을 보더라도 그것을 지나쳐서는 안되며,
■行有纖毫之惡不可為之.
■행유섬호지악불가위지.
■행함에 아주 작은 악(惡)이 있더라도 그것을 해서는 안 된다.
'명심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16. 但存心裡正(단존심리정) 不用問前程(불용문전정). (0) | 2019.08.01 |
---|---|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15. 出其言善(출기언선) 則千里應之(즉천리응지). (0) | 2019.07.31 |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13. 終身爲善(종신위선) 善猶不足(선유부족). (0) | 2019.07.29 |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12. 見善如渴(견선여갈) 聞惡如聾(문악여롱). (0) | 2019.07.28 |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11. 善以自益(선이자익) 惡以自損(악이자손). (0) | 2019.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