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심보감(明心寶鑑) 계선편(繼善篇) 010
善事須貪 惡事莫樂.
선사수탐 악사막락.
착한 일은 반드시 탐(貪)내야 하며, 나쁜 일은 즐겨서는 안 된다.
善(선): 착하다 | 事(사): 일 |
須(수): 반드시 ~해야 한다 | 貪(탐): 탐하다 |
惡(악): 나쁘다 | 事(사): 일 |
莫(막): ~해서는 안 된다 | 樂(락): 즐기다 |
※어구(語句):
- 善事(선사): ❶착한 일. 좋은 일. ②윗사람을 잘 섬김.
- 惡事(악사): 악한 일. 나쁜 일. 나쁜 짓. 못된 짓. 추악(醜惡)한 일.
*탐(貪)하다: 어떤 것을 가지거나 차지하고 싶어 지나치게 욕심을 내다.
※音(음)과 訓(훈):
명심보감(明心寶鑑) 계선편(繼善篇) 010
■太公(周代呂尚的稱號 即姜太公)曰.
■태공(주대여상적칭호 즉강태공)왈.
■태공(太公)(주(周)나라 시대(時代) 여상(呂尚)의 칭호(稱號)로, 바로 강태공(姜太公))이 말하였다.
■善事須貪 惡事莫樂.
■선사수탐 악사막락.
■“착한 일은 반드시 탐(貪)내야 하며, 나쁜 일은 즐겨서는 안 된다.”
참고(參考):
-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 (바로 가기)
주(周)나라의 무왕(武王)이 천하(天下)를 평정(平定)하는데 많은 공(功)을 세운 강태공(姜太公)이었으나, 문왕(文王)을 만나기 전까지의 강태공은 글만 읽으며 생계 유지에는 전혀 신경을 쓰지 않던 사람이었습니다.
이러한 강태공을 옆에서 지켜보던 부인은 결국 그를 버리고 떠났습니다. 그러나 후일 강태공이 공을 세워 제(濟)나라의 왕으로 봉해졌다는 소문이 들리자, 그를 찾아가 다시 합칠 것을 청한 일이 있었습니다.
이에 강태공은 부인에게 ‘한 번 엎지른 물은 다시 주워담기 힘들다’라는 말을 하며 거절하였는데, 이 이야기에서 유래된 고사성어가 바로 복수불반분(覆水不返盆)입니다.
'명심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12. 見善如渴(견선여갈) 聞惡如聾(문악여롱). (0) | 2019.07.28 |
---|---|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11. 善以自益(선이자익) 惡以自損(악이자손). (0) | 2019.07.27 |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09. 從善如登(종선여등) 從惡如崩(종악여붕). (0) | 2019.07.25 |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08. 人有善願(인유선원) 天必從之(천필종지). (0) | 2019.07.24 |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07. 擇善固執(택선고집) 惟日孜孜(유일자자). (0) | 2019.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