善以自益 惡以自損.
선이자익 악이자손.
선(善)은 자기(自己)에게 이익을 주고, 악(惡)은 자기에게 손해(損害)를 끼친다.
善(선): 선 |
以(이): ~에게 ~을 주다 |
自(자): 자기 |
益(익): 이익 |
惡(악): 악 |
以(이): ~에게 ~을 주다 |
自(자): 자기 |
損(손): 손해를 보다 |
※어구(語句):
-
※音(음)과 訓(훈):
善(선): ❶선(善). 착하고 정당(正當)하여 도덕적(道德的)인 기준(基準)에 맞는 것. ②착하다. ③좋다. ④훌륭하다. ⑤잘하다. ⑥아끼다. ⑦옳게 여기다. ⑧친(親)하다. 사이좋다.
以(이): ❶~에게 ~을 주다. ②~을/를. ~로. ~써. ~으로. ~으로써. ~을/를 가지고. ~을/를 근거(根據)로. ③~에 의해. ~에 따라. ~에 근거(根據)하여. ④~때문에. ~로 인하여. ⑤~때에. ~에. ⑥~하여. ~함으로써. ⑦~하여. ~하기 위하여. ~함으로써. ⑧~하고. ~하고도. ⑨~부터. ⑩~라 여기다. ⑪~을 ~로 하다. ⑫이유. 까닭. ⑬거느리다. ⑭닮다. ⑮말다.
自(자): ❶스스로. 몸소. 자기(自己). ②저절로. ③~로부터. ~서부터. ④본연(本然). ⑤처음. ⑥출처(出處). ⑦말미암다. ⑧코.
益(익): ❶이익(利益). ②더욱. 한결. 점점. 차츰차츰. ③더하다. ④이롭다. 유익(有益)하다. ⑤돕다. ⑥많다. ⑦넉넉해지다. ⑧향상(向上)되다. ⑨가로막다. ⑩상으로 주다. ⑪넘치다 (일).
惡(악): ❶악(惡). 도덕적(道德的)인 기준(基準)에 어긋나 나쁜 것. ②나쁘다. ③악(惡)하다. ④더럽다. ⑤못생기다. 추(醜)하다. ⑥흉년(凶年) 들다. ⑦병(病)들다. ⑧똥. 대변(大便). ⑨병(病). 질병(疾病). ⑩재난(災難). ⑪잘못. ⑫악인(惡人). 나쁜 사람. ⑬미워하다 (오). ⑭헐뜯다 (오). ⑮부끄러워하다 (오). ⑯두려워하다 (오). ⑰어찌 (오). ⑱어느 (오).
以(이): ❶~에게 ~을 주다. ②~을/를. ~로. ~써. ~으로. ~으로써. ~을/를 가지고. ~을/를 근거(根據)로. ③~에 의해. ~에 따라. ~에 근거(根據)하여. ④~때문에. ~로 인하여. ⑤~때에. ~에. ⑥~하여. ~함으로써. ⑦~하여. ~하기 위하여. ~함으로써. ⑧~하고. ~하고도. ⑨~부터. ⑩~라 여기다. ⑪~을 ~로 하다. ⑫이유. 까닭. ⑬거느리다. ⑭닮다. ⑮말다.
自(자): ❶스스로. 몸소. 자기(自己). ②저절로. ③~로부터. ~서부터. ④본연(本然). ⑤처음. ⑥출처(出處). ⑦말미암다. ⑧코.
損(손): ❶손해(損害)를 보다. 잃다. ②덜다. 줄이다. ③줄다. 감소(減少)하다. ④해(害)치다. 상하게 하다. ⑤헐뜯다. ⑥낮추다. 겸손(謙遜)하다.

명심보감(明心寶鑑) 계선편(繼善篇) 011
■顏子曰.
■안자왈.
■안자(顏子)가 말하였다.
顏子(안자): 顔回(안회). 顔子(안자).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노(魯)나라 사람. 자(字)는 자연(子淵). 공자(孔子)가 가장 아꼈던 제자.
■善以自益 惡以自損.
■선이자익 악이자손.
■“선(善)은 자기(自己)에게 이익(利益)을 주고, 악(惡)은 자기에게 손해(損害)를 끼친다.
以(이): ❶~에게 ~을 주다. ②~을/를. ~로. ~써. ~으로. ~으로써. ~을/를 가지고. ~을/를 근거(根據)로. ③~에 의해. ~에 따라. ~에 근거(根據)하여. ④~때문에. ~로 인하여. ⑤~때에. ~에. ⑥~하여. ~함으로써. ⑦~하여. ~하기 위하여. ~함으로써. ⑧~하고. ~하고도. ⑨~부터. ⑩~라 여기다. ⑪~을 ~로 하다. ⑫이유. 까닭. ⑬거느리다. ⑭닮다. ⑮말다.
益(익): ❶이익(利益). ②더욱. 한결. 점점. 차츰차츰. ③더하다. ④이롭다. 유익(有益)하다. ⑤돕다. ⑥많다. ⑦넉넉해지다. ⑧향상(向上)되다. ⑨가로막다. ⑩상으로 주다. ⑪넘치다 (일).
損(손): ❶손해(損害)를 보다. 잃다. ②덜다. 줄이다. ③줄다. 감소(減少)하다. ④해(害)치다. 상하게 하다. ⑤헐뜯다. ⑥낮추다. 겸손(謙遜)하다.
■故君子務其益以防損 非以求名且以遠辱.
■고군자무기익이방손 비이구명차이원욕.
■그래서 군자(君子)는 이익이 되는 것에 힘을 써서 손해를 보는 것을 막는데, 명예(名譽)를 추구(追求)함이 아니라 장차(將次) 모욕(侮辱)을 당하는 것을 멀리하기 위함이다.”
務(무): 힘쓰다.
君子(군자): - 君子(군자): ❶학식(學識)과 덕행(德行)이 뛰어난 사람. ↔ 小人(소인). ②높은 관직에 있는 사람. 지위가 높은 사람. ③아내가 남편을 높여 일컫는 말.
求名(구명): 명예(名譽)를 추구(追求)하다. 명성(名聲)을 추구하다.
참고(參考):
- 단사표음(簞食瓢飮)
안자(顔子)는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노(魯)나라 사람입니다. 본명(本名)은 안회(顔回), 자(字)는 자연(子淵)이라 하며, 공자(孔子)가 가장 아꼈던 제자(弟子)입니다.
변변치 못한 음식을 먹으며 누추한 곳에 살면서도 이를 극복하고 뛰어난 학덕(學德)을 갖추어 공자가 그를 높게 평가하였으나, 서른두 살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안자와 관련있는 고사성어로, 단사표음(簞食瓢飮)이 있습니다. 단사표음은 청빈하고 검소한 생활을 비유한 말로, 논어(論語)의 옹야편(雍也篇)에 실려 있는 공자가 제자인 안회(顔回)를 칭찬한 말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고사성어-‘단사표음’편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바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