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심보감

明心寶鑑(명심보감) 繼善篇(계선편) 011. 善以自益(선이자익) 惡以自損(악이자손).

善以自益 惡以自損.
선이자익 악이자손.
선(善)은 자기(自己)에게 이익을 주고, 악(惡)은 자기에게 손해(損害)를 끼친다.

 

 

 

善(선): 선 以(이): ~에게 ~을 주다
自(자): 자기 益(익): 이익
惡(악): 악 以(이): ~에게 ~을 주다
自(자): 자기 損(손): 손해를 보다

 

 

※어구(語句):
-

 

※音(음)과 訓(훈):

 

 

명심보감(明心寶鑑) 계선편(繼善篇) 011

 

■顏子曰.
■안자왈.
■안자(顏子)가 말하였다.

 

■善以自益 惡以自損.
■선이자익 악이자손.
■“선(善)은 자기(自己)에게 이익(利益)을 주고, 악(惡)은 자기에게 손해(損害)를 끼친다.

 

■故君子務其益以防損 非以求名且以遠辱.
■고군자무기익이방손 비이구명차이원욕.
■그래서 군자(君子)는 이익이 되는 것에 힘을 써서 손해를 보는 것을 막는데, 명예(名譽)를 추구(追求)함이 아니라 장차(將次) 모욕(侮辱)을 당하는 것을 멀리하기 위함이다.”

 

 

참고(參考):
- 단사표음(簞食瓢飮)

 

안자(顔子)는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노(魯)나라 사람입니다. 본명(本名)은 안회(顔回), 자(字)는 자연(子淵)이라 하며, 공자(孔子)가 가장 아꼈던 제자(弟子)입니다.

 

변변치 못한 음식을 먹으며 누추한 곳에 살면서도 이를 극복하고 뛰어난 학덕(學德)을 갖추어 공자가 그를 높게 평가하였으나, 서른두 살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안자와 관련있는 고사성어로, 단사표음(簞食瓢飮)이 있습니다. 단사표음은 청빈하고 검소한 생활을 비유한 말로, 논어(論語)의 옹야편(雍也篇)에 실려 있는 공자가 제자인 안회(顔回)를 칭찬한 말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고사성어-‘단사표음’편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바로 가기)